2021년 시장조사 방법 트렌트 11
1 스마트하고 단순한 서베이, 2 DIY in-house 조사, 3 장기추적, 4 고품질 데이터 수집, 5 온라인 질적조사, 6 빠른 응답, 7 고객에 부담이 적으며 자연스러운 조사, 8 감성포착, 9 크라우드소싱 조사, 10 social listening, 11 AI 활용 데이터 수집
질적조사가 New Normal 시대 소비자를 깊이 이해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
New Normal 시대 마케팅의 새로운 도전 4가지(G.R.I.P): Growth, Recovery, Innovation, Pivot.
이들의 공통주체는 바로 "소비자를 깊이 이해하는 것" 그리고 그 최선의 방법은 바로 "질적조사".
"Virtual 에스노그라피"의 새로운 기회(코로나-19 시대)
코로나-19 시대 떠오르고 있는 버추얼 에스노그라피는 (1) 실시간 조사 (2) 장기간 인터뷰 (3)관찰자 효과의 감소 (4)소비자의 디지털 생활양식을 파악하는 필수 방법론으로 조명받고 있다.
숫자를 넘어: 선거 여론조사에서 질적조사의 중요성
"2016미.대선의 교훈-질적조사가 중요했다"
"여론조사의 한계와 질적 데이터의 응답"
"More Than Numbers: How Qualitative Research Can Win Elections"
"여론조사의 한계와 질적 데이터의 응답"
"More Than Numbers: How Qualitative Research Can Win Elections"
융합.다중 방법을 통한 데이터 통합
융합방법과 다중방법: 보다 신뢰성 있는 통찰을 얻어내는 조사 방법을 찾아서
"양적조사와 질적조사를 융합하기"
"양적조사와 질적조사를 융합하기"
에스노그라피 & UX
"소비자로부터 더 좋은 통찰을 이끌어 내기: 인류학이 상품 디자인에서 하는 중요한 역할"
"에스노그라피 방법을 최대한 활용하기"
"에스노그라피 방법을 최대한 활용하기"
상품 디자인 속 문화인류학: Xerox의 녹색버튼에서 Photoshop까지
"인류학: 사랑받는 테크놀로지의 비결"
"에스노그라피 = 더 좋은 디자인 "
"소비자의 생각을 더 잘 찾아내기"
"에스노그라피 = 더 좋은 디자인 "
"소비자의 생각을 더 잘 찾아내기"
Adobe Photoshop 개발팀에 참여한 인류학자: 2년 간의 경험
인류학 박사 Charles Pearson
인류학자인 Charles Pearson은 어떻게 에스노그라피(ethnography)가 사용자 위주의 디자인을 만드는데 기여했는지를 자신이 참여한 Photoshop 개발팀의 사례를 통해 들려주고 있다.
인류학자인 Charles Pearson은 어떻게 에스노그라피(ethnography)가 사용자 위주의 디자인을 만드는데 기여했는지를 자신이 참여한 Photoshop 개발팀의 사례를 통해 들려주고 있다.
왜 모든 소프트웨어팀은 인류학자를 필요로하나 (Why Every Software Team Needs an Anthropologist)
인류학 박사 Charles Pearson
간단한 답변: 인간과 사용자를 이해하는 것이 바로 더 좋은 상품을 만드는 핵심이다 (Short answer: Understanding people, users, is key to building better product)
간단한 답변: 인간과 사용자를 이해하는 것이 바로 더 좋은 상품을 만드는 핵심이다 (Short answer: Understanding people, users, is key to building better product)
Grant McCracken의 "Culture(문화)" "Innovation(혁신)" & "Chief Culture Officer(최고문화경영자)"
최고문화경영자CCO(김영사, 2011)의 저자이자 Netflix의 의뢰를 받고 수행한 조사에서 오늘날 Netflix 마케팅 전략수립에 통찰을 제공한 문화인류학자
참고링크: TV Got Better:Netflix's Original Programming Strategies and Binge Viewing
참고링크: TV Got Better:Netflix's Original Programming Strategies and Binge Viewing
Qualitative’s role in an increasingly quantitative world
질적조사(정성조사)는 숫자를 넘어 사람 속으로 들어가 "왜(why)"란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아내고, 빅데이터가 잘 보여주지 못하는 영감(inspiration)과 통찰(insight)을 제공해 줄 수 있다.
TED: "The Human Insights Missing from Big Data"
큰 그림을 그리는 데 유리한 big data와 맥락과 관계를 이해하는데 유리한 thick data의 통합을 주장하는 Tricia Wang 박사의 강연. Tricia Wang은 에스노그라피 기반의 조사를 해 온 사회학자.